기존의 중앙집중형 기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는 대체적으로 중앙집중형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중앙집중형 기술은 거대한 기관, 기업(Facebook, Google, Amazon)에게 수수료나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보관한다. 중앙집중형 데이터베이스는 편리하고 빠르다. 하지만 최근 중앙집중형 기술의 문제점을 겪고 있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
- 보안문제 : 모든 데이터베이스들이 한 곳에 중앙집중형으로 있기 때문에 해커들은 중앙집중형으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뚫으면 모든 정보가 뚫리게 된다.
- 비용문제 : 중앙집중형인 데이터베이스들은 사용자에게 과도한 금액 청구를 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금액이 든다.
- 시간문제 : Peer to peer 방식이 아닌 중간에 여러 프로세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외환거래의 경우 많은 중간 프로세스가 있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중앙집중형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
중앙집중형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산원장기술이 등장했다. 분산원장기술은 거래 정보가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해커가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해킹해야하기 때문에 해킹이 어렵다. 또한 분산원장은 사용자들 사이에 직접 거래를 하기 때문에 여러 프로세스를 건너뛰고 거래를 할 수 있다. 거리나 시간에 대한 제한도 없다. 또한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업이 없기 때문에 기업이 사용자들에게 과도한 금액 청구를 할 수 없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비용도 없다.
'프로그래밍 > Block 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alanche-cli] avalanche-cli 설치 및 사용 Mac (0) | 2022.02.23 |
---|---|
Blockchain Trilemma(블록체인 트릴레마) (0) | 2022.02.08 |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 해싱과 해시 함수 (0) | 2022.02.08 |
블록체인의 등장,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0) | 2022.02.08 |
화폐란 무엇인가? (1) | 2022.02.08 |